상담 장면에서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유독 의존하거나 특별한 감정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는 단순한 인간관계를 넘어 ‘전이’라는 상담심리학적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중요한 지점입니다. 직업상담사 2급 실기에서는 이 전이(transference)의 의미와 적절한 대처 방안이 자주 출제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전이의 개념과 실전에서의 상담 전략, 암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✅ 실제 기출문제와 출제 포인트
📌 문제 예시
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려는 전이가 일어났을 때, 그 의미와 해결방안을 설명하시오.
📌 출제연도
07-2, 10-2, 14-2, 17-3, 21-2, 24-1, 25-1
📌 문제 유형
서술형 / 관계 사례형
📌 출제 포인트
-
전이 개념 정의 + 부정적 영향 인식
-
해결방안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일수록 유리
-
자율성과 독립성 회복 중심의 접근 강조
📚 전이의 의미와 해결방안
🔍 전이(Transference)란?
-
정의: 내담자가 과거의 중요한 인물(예: 부모, 교사 등)에게 가졌던 감정이나 태도를 상담자에게 전가하는 심리적 현상
-
특징: 의존, 분노, 애착 등 다양한 감정으로 나타나며, 상담자의 중립성 유지가 중요
상담 예시
“상담 선생님 없이는 아무것도 못 하겠어요…”
→ 내담자는 실제 문제가 아닌 ‘감정의 반복’을 상담자에게 투사하고 있음
🛠️ 전이 해결방안
① 전이 인식과 해석
-
내담자에게 전이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자연스럽게 인식시킴
-
“지금 제가 아닌 다른 누군가와의 관계가 떠오르시는 건 아닐까요?”
② 점진적 독립 촉진
-
의존을 줄이고, 자신의 선택과 판단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유도
-
“그 상황에서 본인의 판단으로 결정한다면 어떤 선택을 하실 것 같나요?”
③ 자율성 강화 전략 적용
-
내담자의 강점, 회복 경험 등을 상기시키며 스스로의 힘을 회복하도록 함
-
행동계획 수립, 자기실현 과제 부여 등
🧠 암기법 정리
전해자
전이 인식 → 해석 → 자율성 촉진
전: 전이 인식
해: 해석을 통해 감정 분리
자: 자율성 강화
📝 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구분 | 내용 |
---|---|
출제 영역 | 직업상담학 > 상담이론 |
최근 출제빈도 | 7회 (07-2, 10-2, 14-2, 17-3, 21-2, 24-1, 25-1) |
난이도 | ⭐⭐⭐⭐ (상담관계 이해도 요구) |
✍️ 실전 답안 작성 팁
-
“전이”라는 단어 자체가 핵심 키워드이므로 서두에 반드시 언급하세요.
-
해결방안은 이론적인 문장이 아닌 실제 상담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문장으로 작성하면 가산점 UP!
-
'자율성'과 '상담자 독립'을 강조하면 좋습니다.
🎯 마무리 정리
전이는 내담자의 감정과 기억이 상담자에게 투사되는 복잡한 심리 현상이지만, 그만큼 상담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요소입니다. 이를 자연스럽게 인식시키고, 해석을 통해 내담자의 자율성과 회복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직업상담사로서의 핵심 역량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