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상담사 2급 실기, 심리검사 신뢰도 추정 3대 방법 완벽 정리

 심리검사의 신뢰도는 직업상담사 2급 실기에서 심리검사 기본 개념 파트의 ‘단골’ 주제입니다.

각 방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, 실제 검사에서 어떤 상황에 사용하는지,
그리고 답안 작성 시 빠질 수 있는 오개념까지 세밀하게 살펴봅니다.


기출문제 풀기


실제 기출문제와 출제 포인트

직업심리학 및 심리검사 영역에서는
“심리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3가지 방법을 설명하시오.”
또는 “검사-재검사 신뢰도, 동형검사 신뢰도, 내적합치도의 의미를 쓰시오.”와 같이
핵심 평가 기준을 직접 묻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출제됩니다.

  • 기출년도: 24-1 등

  • 문제 유형: 서술형/간단 설명형

  • 문제 예시:

   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는 다음 3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.

    • 검사-재검사 신뢰도

    • 동형검사 신뢰도

    • 내적 합치도


심리검사 신뢰도 추정 3가지 방법과 이유

  1. 검사-재검사 신뢰도 (Test-Retest Reliability)

    • 정의: 동일한 검사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같은 대상에게 두 번 실시해, 결과의 일치 정도를 측정

    • 이유: 검사가 시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측정되는지를 확인

    • 적용 예시: 지능검사, 성격검사 등 반복 측정이 가능한 경우

  2. 동형검사 신뢰도 (Parallel/Equivalent Forms Reliability)

    • 정의: 내용과 난이도가 유사한 두 개의 검사를 같은 집단에 실시하여 두 결과의 일치도를 확인

    • 이유: 검사 문항이 바뀌어도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검증

    • 적용 예시: 두 가지 형태로 제작된 적성검사, 학력평가 등

  3. 내적 합치도 (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)

    • 정의: 한 번 실시한 검사에서 각 문항 간의 일관성을 분석하여, 검사의 신뢰도를 확인

    • 이유: 여러 문항이 같은 특성을 얼마나 일관되게 측정하는지 확인

    • 적용 예시: 설문지, 성격검사 등 다문항 검사에서 주로 사용


시계와 체크리스트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그림의 클립아트

암기법과 연상 팁

  • 검동내

  • “검사, 동형, 내적!”

  • 연상법: ‘검동내’(검사 반복, 동형 검사, 내적 합치)

  • “신뢰도 추정, 검사-동형-내적 순!”


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
구분내용
출제 영역직업심리학 > 심리검사(신뢰도 평가)
최근 출제빈도1회(24-1, 심리검사 기본 영역)
난이도⭐ (핵심 개념, 답안 작성이 쉽지만 설명 빠뜨리기 쉬움)

여러 개의 설문 문항이 하나의 점으로 연결되어 일관성을 보여주는 그림의 클립아트

실전 답안 작성 팁

  • 각 방법의 정의+이유+적용 예시를 한두 줄로

  • 검사-재검사는 시간의 일관성, 동형검사는 형태 변화에도 일관성, 내적합치는 문항 간 일관성

  • ‘검동내’ 암기법으로 빠르게 순서 및 개념 정리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