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상담사 2급 실기, 심리검사 시 준수해야 하는 윤리강령 3가지 완벽 해설

 직업상담사 2급 실기에서 심리검사 윤리 문제는 상담자로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. 단순히 나열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, 실제 현장 상황에서 왜 지켜야 하는지까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만점에 가까워집니다.


기출문제 풀기


실제 기출문제와 출제 포인트

심리검사 파트에서는 검사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 3가지를 쓰라는 형태로 자주 출제됩니다.
각각의 원칙에 대한 정의, 그리고 왜 그것이 중요한지까지 서술해야 고득점 답안이 됩니다.

  • 기출년도: 02-2, 05-1, 08-1, 10-2, 19-3, 22-2, 24-1 등

  • 문제 유형: 단답형/간단 설명형

  • 문제 예시:

    심리검사 시 검사자가 준수해야 하는 윤리강령 3가지를 쓰고 각각 설명하시오.


심리검사 시 검사자가 반드시 지켜야 할 윤리강령 3가지

  1. 비밀보장

    • 정의: 내담자(피검사자)의 개인정보, 검사 결과 등 모든 자료를 외부에 누설하지 않도록 엄격히 관리

    • 이유: 신뢰로운 상담관계의 기본. 비밀이 지켜져야만 내담자가 솔직하게 검사에 응할 수 있음

    • 예시: 동의 없는 결과 유출 금지, 결과 보관 시 철저한 보안 유지

  2. 결과의 적절한 해석과 활용

    • 정의: 검사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고, 내담자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서만 활용

    • 이유: 잘못된 해석이나 남용은 내담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, 전문가로서의 책임감 필수

    • 예시: 결과를 오해하거나 불이익을 주는 식의 사용 금지

  3. 피검사자의 인권 존중

    • 정의: 검사과정 및 해석 전반에서 내담자의 인격과 권리를 최우선적으로 보호

    • 이유: 모든 사람은 존엄성을 가지며, 검사과정에서 불쾌감·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

    • 예시: 검사 동의 절차, 검사 거부권 보장, 차별 금지


자물쇠 아이콘과 상담 기록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모습

암기법과 연상 팁

  • 비결인

  • “비밀보장, 결과 해석, 인권 존중!”

  • 연상법:
    ‘비결인’ 세 글자를 기억하면 ‘비밀(비)’, ‘결과(결)’, ‘인권(인)’이 자연스럽게 떠오릅니다.


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
구분내용
출제 영역직업심리학 > 심리검사 윤리
최근 출제빈도7회(2002~2024년, 심리검사 실무 핵심)
난이도⭐⭐⭐⭐ (기본이지만 세부 이유가 중요)

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손을 내밀며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장면 이미지

실전 답안 작성 팁

  • 각 윤리강령의 정의+이유+예시까지 한두 문장으로

  • 실제 현장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(정보유출, 오해, 인권침해 등) 사례와 연결

  • ‘비결인’ 암기법을 활용해 순서와 내용을 빠르게 정리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