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상담사 2급 실기, 임금근로자 수 계산 문제 완벽 정리

 직업상담사 2급 실기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계산형 문제 중 하나는 바로 "임금근로자 수"를 구하는 것입니다. 노동시장론의 고용지표 단원에서 출제되는 이 문제는 지표 간의 정확한 개념 이해와 계산력을 동시에 평가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전 기출문제를 통해 임금근로자 수 계산법을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.


기출문제 풀기


실전 기출문제 및 출제 포인트

문제 예시:

특정 시기의 고용 동향이 다음과 같을 때, 임금근로자의 인원수를 계산하시오.

  • 15세 이상 인구: 35,986천 명

  • 비경제활동인구: 14,716천 명

  • 취업자: 20,149천 명 (자영업자 5,646천 명, 무급가족종사자 1,684천 명, 상용근로자 6,113천 명, 임시근로자 4,481천 명, 일용근로자 2,225천 명)

정답 풀이:

임금근로자 수 = 상용근로자 + 임시근로자 + 일용근로자
= 6,113천 명 + 4,481천 명 + 2,225천 명
= 12,819천 명


임금근로자의 인원수를 계산 방법 안내


개념 설명: 임금근로자란?

임금근로자는 일정한 급여를 받고 일하는 사람들로,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.

  1. 상용근로자: 정규직이나 계약직 등 고정적으로 고용된 인원

  2. 임시근로자: 고용 기간이 짧고 일시적으로 고용된 인원

  3. 일용근로자: 하루 단위로 일하고 급여를 받는 인원

자영업자나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근로자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
암기법: 상임일(상용·임시·일용)

“임금근로자는 상·임·일이다!”
용근로자
시근로자
용근로자

이렇게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아요.


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
구분내용
출제 영역노동시장론 > 고용지표
최근 출제빈도4회 (15-3, 18-1, 21-2, 24-1)
난이도⭐⭐⭐ (기초 개념 + 계산 정확성 요구)

실전 팁 요약

  • 임금근로자는 상용 + 임시 + 일용만 포함

  • 자영업자, 무급가족종사자 제외

  • 숫자 계산 시 단위 ‘천 명’도 반드시 유의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