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업률은 노동시장 파트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 특히 직업상담사 2급 실기시험에서는 수치 계산과 공식 이해, 그리고 경제활동인구의 개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률 문제 출제 방식, 계산 공식을 사례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✅ 실제 기출문제와 출제 포인트
📌 문제 예시
고용률이 50%이고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명인 가상경제에서 실업자 수가 50명일 때 실업률을 구하시오.
📌 출제연도
16-2, 19-2, 22-3, 24-1
📌 문제 유형
단답형 계산 문제
📌 출제 포인트
-
경제활동인구 수 개념 이해
-
고용률과 실업률 공식을 혼동하지 않고 정확히 적용할 수 있어야 함
-
문제에 주어진 수치만으로 미지의 값을 유도하는 연산 능력 평가
📚 공식 정리와 계산 과정
🔍 핵심 개념
용어 | 정의 |
---|---|
고용률 | 취업자 수 ÷ 생산가능인구 수 × 100 |
실업률 | 실업자 수 ÷ 경제활동인구 수 × 100 |
경제활동인구 수 | 취업자 수 + 실업자 수 |
생산가능인구 수 | 비경제활동인구 + 경제활동인구 수 |
🧮 계산 과정 풀이
-
고용률 = 취업자 / (취업자 + 실업자 + 비경제활동인구) × 100
→ 50% = A / (A + 50 + 400) × 100 -
A = 450명 (취업자 수)
-
경제활동인구 수 = 취업자 + 실업자 = 450 + 50 = 500명
-
실업률 = 50 / 500 × 100 = 10%
✅ 정답: 10%
🧠 암기법 정리
고실생비
고용률 = 취업자 ÷ (실업자 + 취업자 + 비경제활동인구)
실업률 = 실업자 ÷ (경제활동인구)
생산가능인구 = 비경제활동인구 + 경제활동인구
이렇게 순서대로 외우면 공식이 헷갈리지 않아요!
📝 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구분 | 내용 |
---|---|
출제 영역 | 노동시장론 > 고용지표 |
최근 출제빈도 | 4회 (16-2, 19-2, 22-3, 24-1) |
난이도 | ⭐⭐⭐ (계산력 + 개념이해 동시 요구) |
✍️ 실전 답안 작성 팁
-
계산식만 쓰지 말고, 공식→대입→결과 도출 순으로 명확히 서술하세요.
-
단위(명, %, 천 명 등)를 정확히 표기하면 감점 방지에 유리합니다.
-
숫자와 용어를 구분해서 쓰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.
🎯 마무리 정리
실업률 문제는 계산을 잘하면 누구나 맞출 수 있지만, 경제활동인구 개념을 헷갈리면 쉽게 틀릴 수 있습니다. 고용률과 실업률의 공식 차이를 반드시 외워두고, 문제를 풀 때는 항상 용어 정의 → 공식 → 숫자 대입 순서를 지키는 연습을 해두세요. 계산문제는 실기에서 놓치면 아쉬운 고득점 구간입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