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업상담사 2급 실기: 실업률 계산 공식 완벽 정리 – 노동시장 핵심 개념

 

실업률은 노동시장 파트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 특히 직업상담사 2급 실기시험에서는 수치 계산과 공식 이해, 그리고 경제활동인구의 개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률 문제 출제 방식, 계산 공식을 사례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.


기출문제 풀기


실제 기출문제와 출제 포인트

📌 문제 예시

고용률이 50%이고 비경제활동인구가 400명인 가상경제에서 실업자 수가 50명일 때 실업률을 구하시오.

📌 출제연도
16-2, 19-2, 22-3, 24-1

📌 문제 유형
단답형 계산 문제

📌 출제 포인트

  • 경제활동인구 수 개념 이해

  • 고용률과 실업률 공식을 혼동하지 않고 정확히 적용할 수 있어야 함

  • 문제에 주어진 수치만으로 미지의 값을 유도하는 연산 능력 평가


📚 공식 정리와 계산 과정

🔍 핵심 개념

용어정의
고용률취업자 수 ÷ 생산가능인구 수 × 100
실업률실업자 수 ÷ 경제활동인구 수 × 100
경제활동인구 수취업자 수 + 실업자 수
생산가능인구 수비경제활동인구 + 경제활동인구 수

🧮 계산 과정 풀이

  1. 고용률 = 취업자 / (취업자 + 실업자 + 비경제활동인구) × 100
    → 50% = A / (A + 50 + 400) × 100

  2. A = 450명 (취업자 수)

  3. 경제활동인구 수 = 취업자 + 실업자 = 450 + 50 = 500명

  4. 실업률 = 50 / 500 × 100 = 10%

정답: 10%


책상에 앉아 실업률 계산 문제를 생각하는 대학생의 일러스트


🧠 암기법 정리

고실생비
고용률 = 취업자 ÷ (실업자 + 취업자 + 비경제활동인구)
실업률 = 실업자 ÷ (경제활동인구)
생산가능인구 = 비경제활동인구 + 경제활동인구

이렇게 순서대로 외우면 공식이 헷갈리지 않아요!


📝 출제 영역 및 난이도 분석

구분내용
출제 영역노동시장론 > 고용지표
최근 출제빈도4회 (16-2, 19-2, 22-3, 24-1)
난이도⭐⭐⭐ (계산력 + 개념이해 동시 요구)

✍️ 실전 답안 작성 팁

  • 계산식만 쓰지 말고, 공식→대입→결과 도출 순으로 명확히 서술하세요.

  • 단위(명, %, 천 명 등)를 정확히 표기하면 감점 방지에 유리합니다.

  • 숫자와 용어를 구분해서 쓰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.


🎯 마무리 정리

실업률 문제는 계산을 잘하면 누구나 맞출 수 있지만, 경제활동인구 개념을 헷갈리면 쉽게 틀릴 수 있습니다. 고용률과 실업률의 공식 차이를 반드시 외워두고, 문제를 풀 때는 항상 용어 정의 → 공식 → 숫자 대입 순서를 지키는 연습을 해두세요. 계산문제는 실기에서 놓치면 아쉬운 고득점 구간입니다!

다음 이전